인류가 가장 사랑했던 영화를 도감으로 만든다면, 아마도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들, 그리고 그의 영화 속 아이코닉한 장면들 (예를 들어 <E.T.>에서 자전거를 타고 하늘로 올라가는 장면)이 가장 많은 페이지를 차지하지 않을까?
그 존재와 재능에 대해서 특별한 설명이 필요 없는 감독이지만 사실상 스필버그는 ‘가장 많은 기록’을 가진 감독이기도 하다. 그는 영화산업에서 ‘블록버스터’라는 장르를 탄생시킨 인물이고 (<죠스>, 1975), 아카데미의 역사에서 가장 많은 작품, 13편을 ‘Best Picture (최고 작품상)' 부문에 올린 인물이기도 하다. 이외의 시상식에서 받은 상까지 합치면 그가 받은 트로피는 209개 (노미네이션은 325개)에 달한다. 이쯤 되면 스필버그에게 더 이상 상으로 주는 영예는 큰 의미가 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무엇보다 그는 세상에서 가장 생산적인 감독이기도 하다. 올해 77세를 맞은 현재까지 거의 매년 한 편의 영화를 개봉시키고 있으며 (제작 크레딧 포함) 여전히 한 장르에 머물지 않고 여러 장르를 넘나드는 창조적인 활약을 지속하고 있다.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출신인 스필버그는 텔레비전 드라마를 연출하면서 데뷔했다. 첫 장편 영화 <듀얼>(1971) 역시 텔레비전용 영화였지만 미국뿐 아닌 해외에서도 호평을 받으면서 스필버그는 할리우드로 입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그의 진정한 영화 데뷔라고 한다면 그다음 작품 <슈가랜드 특급>(1974)으로 보는 것이 더 정확할 것이다. 영화는 부잣집으로 강제 입양될 위기에 처한 아이들을 찾아오기 위해 탈옥하는 남편과 그의 아내의 여정을 다룬 로드 무비이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 영화는 <보니 앤 클라이드>(감독 아서 펜, 1967)의 파괴적인 에너지와 누벨바그를 향한 미국 신인 감독의 열망이 투영된 수작이다. 영화는 그 해 칸 영화제에서 각본상을 받았다.
아쉽게도 <슈가랜드 특급>은 평단의 인정은 받았지만 흥행에는 실패한 작가주의적 영화였다. 그럼에도 감독으로서 스필버그의 미학적 지향점을 확고히 했던 영화의 정체성을 고려한다면 그의 다음 행보는 다소 예상 밖의 것이다. 그는 곧바로 <슈가랜드 특급>을 제작했던 리차드 D. 자눅과 데이비드 브라운의 또 다른 프로젝트 <죠스>에 투입되었다. 블록버스터의 초석이자 여름 영화의 아이콘인 <죠스>는 사실상 최종 제작비의 3분의 1 정도로 기획되었던 중예산의 호러·스릴러 프로젝트였다 (애초부터 메가급 영화였다면 26세의 신인 감독에게 이 프로젝트를 맡기지 않았을 것이다). 촬영이 난항을 겪으며 제작비는 3배에 가까운 9백만 달러까지 치솟았고, 주연배우인 리차드 드레이퓨즈에 따르면 촬영이 이미 시작되었음에도 그들에겐 스크립트도, 캐스트도, 상어조차도 없었다 (We started the film without a script, without a cast and without a shark.”).
물론 나머지 스토리는 우리 모두가 아는 전설이다. 모두가 염려했던 이 호러 프로젝트는 블록버스터 역사의 시작이자, 스필버그 역사의 시작을 알렸고 이후 그는 <인디아나 존스>, <E.T.>, <쥬라기 공원> 시리즈 등 전 세계의 스크린을 차지하는 흥행 영화의 주역이자 아메리칸 시네마의 얼굴이 되었다.
그럼에도 스필버그의 이력, 혹은 장기를 블록버스터 영화로 한정 짓는 것은 그의 경이로운 필모그래피의 반쪽만 조명하는 것이다. 그가 1985년에 연출한 <컬러 퍼플>은 스필버그에게 있어서 매우 중추적인 터닝포인트가 된다. 앨리스 워커가 퓰리처상을 받은 소설 원작을 영화화한 이 작품은 백인 감독으로서 대공황 시기를 거치는 흑인 여성들의 삶을 재현하는 야심 차면서도 어쩌면 위험한 프로젝트였다. 영화의 제작을 맡은 퀸시 존스가 스필버그에게 연출을 제안했을 때 그가 주저했던 이유도 바로 이런 것이었다. 스필버그의 우려에도 영화는 대성공을 거두었고 그는 이로써 여름 블록버스터의 대가를 넘어선, 역사물과 캐릭터 스터디까지 완벽하게 구현해 내는 거장으로 추앙받게 된다.
스필버그를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주의 감독으로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또 다른 작품은 바로 <쉰들러 리스트>(1993)다. 지인의 권유로 참여했던 <컬러 퍼플>과는 달리 <쉰들러 리스트>는 오랜 시간 동안 스필버그 본인이 꿈꿨던 일종의 ‘숙원사업’이었다.
[2부에서 계속]
김효정 영화평론가•아르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