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
안녕하세요. 세상에 없던 문화예술 플랫폼, 아르떼입니다.
안녕하세요. 세상에 없던 문화예술 플랫폼, 아르떼입니다.

저승사자 앞에서 눈물 핑도는 '아줌마들의 수다'가 펼쳐진다

2024.05.22
2860

다시, 봄

뮤지컬종료0
* 종료된 공연 입니다

서울시뮤지컬단 '다시, 봄'
교통사고 당한 50대 여성 7명
저승길서 살아 돌아오려 '신세 한탄'

중년 여성의 일상과 애환 이야기하며
관객 공감 끌어내 웃음과 눈물 유발

공연은 6월7일까지
서울 마곡동 LG아트센터에서



“방심하면 어느새 관절염, 디스크. 이번에는 내 차례일까 두려운 암세포. 골반염, 방광염, 오십견, 위염!”

뮤지컬 '다시, 봄'의 가장 큰 매력은 솔직함이다. 가감 없이 무대에 올려진 중년 여성의 애환을 목격한 관객은 고개를 끄덕이고 웃음을 터트리며 눈물을 닦는다.

작품은 ‘아줌마들의 수다’로 펼쳐진다. 동창 여행 중 교통사고를 당한 50대 여성 7명이 저승사자에게 각자 살아야 할 이유를 대며 설득한다.

어떤 이들은 챙겨야 할 가족이 있다. 아들이 맡긴 운동화를 세탁소에서 찾아와야 하고, 남편은 나 없으면 냄비 하나 찾지 못한다.



개인적인 이유로 살고 싶은 사람들도 있다. 일찍 남편과 사별한 은옥은 홀로 키운 아들이 취업한 덕에 어릴적 포기했던 가수의 꿈을 좇을 수 있게 됐다. 아나운서 진숙은 나이가 들었다며 자신을 밀어내고 면박을 준 상사에게 할 말이 남아있다. 미혼의 커리어우먼 연미는 여생을 함께할 짝을 찾는다는 희망을 아직 포기하지 않았다.

몸이 늙고, 자신만의 삶을 살지 못했다는 허무함을 인정하고 보듬어준다. 그러면서도 이 작품은 긍정적인 자세를 잃지 않는다. 기억이 가물가물해져 가족에게 짐이 될 뿐이라고 자책하는 수현에게도 저승사자는 어릴 적 화가의 꿈을 일깨워주면서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중년 여성의 삶의 부정적인 면과 희생만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인생의 찬란한 시기는 끝나고 모든 게 시들어가는 가을과 겨울이 됐다고 느끼는 여성들에게 희망을 일깨워준다. 사계절이 지나고 다시 봄이 돌아오듯, 이들의 인생에도 따뜻한 봄이 올 것이라는 메시지가 이 작품의 제목이 ‘다시, 봄’인 이유다.

여성의 삶의 명과 암을 구석구석 보듬으면서도 밝은 미래를 이야기하는 뮤지컬. 배우들이 뱉는 대사가 나의 아내, 엄마, 혹은 관객 자신의 목소리처럼 들리면서 관객은 깔깔 웃다가도 코끝이 찡해진다.

공연은 6월 7일까지 서울 마곡동 LG아트센터에서 열린다.

구교범 기자





댓글 (0)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작성
    jypk@v-w.co.kr

    신고하기

    신고사유 선택 [필수]

                  허위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 주세요.

                  댓글 운영 정책

                  아르떼에서는 다음과 같이 댓글 서비스를 관리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댓글 서비스 이용 중에 이용약관 및 운영정책을 위반할 경우, 사전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댓글 운영정책은 이용약관에 기반하고 있으며 기타 사항은 고객센터 문의를 이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1. 서비스 이용 제한 사유
                  - 회사 또는 제3자의 명예를 훼손하는 경우
                  - 회사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 외설 또는 폭력적인 메시지, 기타 관계법령 및 공서양속에 반하는 경우
                  - 제3자에게 피해가 발생하였거나 피해가 예상되는 경우
                  - 댓글 도배 등 부정한 용도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 범죄행위를 목적으로 하거나 범죄행위를 교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 기타 관계 법령을 위배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2. 회원 댓글 기능
                  가. 댓글 신고
                  - 회원은 다른 회원의 댓글을 신고할 수 있습니다. 신고된 댓글은 신고한 회원에 한해서 숨김 처리되며 이는 복구할 수 없습니다.
                  - 신고된 댓글은 이용약관 및 운영정책에 따라 처리됩니다.

                  나. 댓글 삭제
                  - 회원은 본인이 작성한 댓글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삭제된 댓글의 답글은 작성자 또는 회사가 별도로 삭제하기 전까지 삭제되지 않습니다.
                  다. 회원 차단
                  - 회원은 다른 회원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차단한 회원의 댓글및 답글은 숨김처리되며 차단해제도 가능합니다.

                  3. 서비스 이용 제한
                  - 회사는 비방 및 욕설, 광고 등 댓글에 부적합한 단어의 이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 서비스 이용 제한은 누적 위반 횟수를 우선하여 처리하나 사안의 심각성에 따라 처리 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회사는 회원의 IP 및 ID를 일시 또는 영구적으로 차단하여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회사는 회원의 댓글을 삭제하여 게재된 댓글의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회원은 ‘나의 댓글 관리’에서 누적 위반 횟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유하기

                  신고하기

                  신고사유 선택 [필수]

                                허위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 주세요.

                                메달 및 별점 운영 정책

                                아르떼는 공연, 전시, 책 등 문화예술 콘텐츠에 대해 평가 시스템을 운영합니다. 해당 문화 콘텐츠를 직접 체험한 평론가와 담당 기자가 수여하는‘아르떼 메달’과 일반 회원들이 직접 평가하는 ‘아르떼 별점’ 두 가지입니다.

                                아르떼 메달 - 평론가와 기자들이 수여하는 ‘품질 보증서’

                                아르떼 메달은 미슐랭가이드처럼 좋은 공연·전시·책에 대해서만 1~3개씩 부여합니다.
                                한 개건, 두 개건 메달을 받았다는 것만으로 훌륭한 콘텐츠였다고 인정하는 시스템입니다. ‘메달 셋’은 말할 것도 없겠죠. 해당 콘텐츠를 직접 체험한 평론가와 기자들이 콘텐츠의 품질·가격·현장 분위기 등을 감안해 매깁니다.

                                메달 1~3개는 각각 이런 의미를 가집니다.

                                • 절대 놓쳐서는 안 되는
                                  콘텐츠

                                • 먼 걸음을 감수할 만한
                                  콘텐츠

                                • 훌륭한 콘텐츠

                                아르떼 별점 - 회원들이 직접 참여하는 생생한 평가

                                ‘다른 회원들은 이 전시·공연·도서를 어떻게 봤을까?’
                                문화예술 애호가들의 생생한 후기가 궁금하다면 ‘아르떼 별점’을 확인하세요.
                                회원 누구나 간단한 후기와 함께 1~5개의 별을 달 수 있습니다.
                                ‘아르떼 별점’은 자신의 감상평을 다른 애호가들에게 전하고,
                                남들은 어떻게 느꼈는지를 엿볼 수 있는 창구입니다.
                                여러분이 남겨주신 평가가 다른 애호가들에게 선택의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별 1~5개는 각각 이런 의미를 가집니다.

                                • 죽기 전에 반드시 봐야 할 콘텐츠

                                • 주변에 추천하고 싶은 콘텐츠

                                • 호불호가 갈리는 콘텐츠

                                • 약간 아쉬운 콘텐츠

                                • 많이 아쉬운 콘텐츠

                                arte

                                저승사자 앞에서 눈물 핑도는 '아줌마들의 수다'가 펼쳐진다

                                구교범 2024-05-22

                                서울시뮤지컬단 '다시, 봄'
                                교통사고 당한 50대 여성 7명
                                저승길서 살아 돌아오려 '신세 한탄'

                                중년 여성의 일상과 애환 이야기하며
                                관객 공감 끌어내 웃음과 눈물 유발

                                공연은 6월7일까지
                                서울 마곡동 LG아트센터에서


                                “방심하면 어느새 관절염, 디스크. 이번에는 내 차례일까 두려운 암세포. 골반염, 방광염, 오십견, 위염!”

                                뮤지컬 '다시, 봄'의 가장 큰 매력은 솔직함이다. 가감 없이 무대에 올려진 중년 여성의 애환을 목격한 관객은 고개를 끄덕이고 웃음을 터트리며 눈물을 닦는다.

                                작품은 ‘아줌마들의 수다’로 펼쳐진다. 동창 여행 중 교통사고를 당한 50대 여성 7명이 저승사자에게 각자 살아야 할 이유를 대며 설득한다.

                                어떤 이들은 챙겨야 할 가족이 있다. 아들이 맡긴 운동화를 세탁소에서 찾아와야 하고, 남편은 나 없으면 냄비 하나 찾지 못한다.



                                개인적인 이유로 살고 싶은 사람들도 있다. 일찍 남편과 사별한 은옥은 홀로 키운 아들이 취업한 덕에 어릴적 포기했던 가수의 꿈을 좇을 수 있게 됐다. 아나운서 진숙은 나이가 들었다며 자신을 밀어내고 면박을 준 상사에게 할 말이 남아있다. 미혼의 커리어우먼 연미는 여생을 함께할 짝을 찾는다는 희망을 아직 포기하지 않았다.

                                몸이 늙고, 자신만의 삶을 살지 못했다는 허무함을 인정하고 보듬어준다. 그러면서도 이 작품은 긍정적인 자세를 잃지 않는다. 기억이 가물가물해져 가족에게 짐이 될 뿐이라고 자책하는 수현에게도 저승사자는 어릴 적 화가의 꿈을 일깨워주면서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중년 여성의 삶의 부정적인 면과 희생만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인생의 찬란한 시기는 끝나고 모든 게 시들어가는 가을과 겨울이 됐다고 느끼는 여성들에게 희망을 일깨워준다. 사계절이 지나고 다시 봄이 돌아오듯, 이들의 인생에도 따뜻한 봄이 올 것이라는 메시지가 이 작품의 제목이 ‘다시, 봄’인 이유다.

                                여성의 삶의 명과 암을 구석구석 보듬으면서도 밝은 미래를 이야기하는 뮤지컬. 배우들이 뱉는 대사가 나의 아내, 엄마, 혹은 관객 자신의 목소리처럼 들리면서 관객은 깔깔 웃다가도 코끝이 찡해진다.

                                공연은 6월 7일까지 서울 마곡동 LG아트센터에서 열린다.

                                구교범 기자


                                부적절한 표현이 감지됩니다.

                                반복 등록 시 본 사이트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