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
안녕하세요. 세상에 없던 문화예술 플랫폼, 아르떼입니다.
안녕하세요. 세상에 없던 문화예술 플랫폼, 아르떼입니다.

노예의 피땀이 섞인 달콤한 덩어리… 설탕의 쓰디쓴 역사 [책마을]

임근호arte
2024.01.12
2.3k0

설탕

역사0
설탕

윌버 보스마 지음
조행복 옮김/책과함께
624쪽|3만5000원


길쭉한 사탕수수를 잘라 압착하면 즙이 나온다. 풀향기가 살짝 나는 달콤한 액체다. 요즘도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의 노점상에서는 음료로 판다. 오래 놔둘 순 없다. 바로 발효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래전 인도 사람들은 이 즙을 끓여 고체 덩어리로 만들어 몇 달 동안 보관했다. 구르(gur)라 불렀다. 겨울이면 아침 쟁기질을 하러 밭에 나가기 전 한 덩어리씩 먹었다. 기진맥진한 순례자들도 이 구르를 얻어먹고 기력을 회복했다.

황갈색 덩어리의 정체는 설탕이다. 시간이 흐른 후 이를 정제한 백설탕도 만들어졌다. 설탕은 수백 년 동안 세계 각국에서 사치품이었다. 금을 주고 사는 권력과 부의 상징이었다. 이 맛있는 설탕을 남녀노소, 계층에 상관없이 세계인 모두가 먹게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이는 끔찍한 결과를 불러왔다. 바로 노예무역이다.



<설탕>은 설탕의 역사를 다룬 책이다. 2500년 동안 설탕이 어떻게 우리의 정치, 건강, 환경을 바꿨는지 보여준다. 책을 쓴 윌버 보스마는 네덜란드 암스테르탐자유대 교수이자 국제사회사연구소 선임연구원이다. 그는 “설탕의 역사는 비인간적인 폭력과 생태계 파괴, 대항 운동, 저항, 항의, 여러 설탕 생산자들 간의 파멸적인 전쟁으로 가득하다”며 “그렇지만 동시에 엄청난 창의성과 기업가 정신, 낙관론의 역사이기도 하다”고 했다.

설탕은 소금보다 만들기가 훨씬 어렵다. 오늘날에는 커다란 압착기와 보일러, 원심분리기를 갖춘 거대한 공장에서 엄청난 양의 사탕무나 사탕수수를 불과 몇 시간 만에 흰색의 결정질 설탕으로 바꿔놓는다. 하지만 이런 기술이 발전하기 전까지 설탕 생산엔 엄청난 노동력이 필요했다. 무더운 지역에서 작물을 심고 가꾸고 수확한 다음, 즙을 짜내고 끓여서 설탕으로 만들었다. 급증하는 수요를 맞추기 위해, 잡초를 베어내기 위해, 또 수확한 사탕수수는 금방 상했기에 설탕 노동자들은 오랜 시간 중노동에 시달려야 했다.

Getty Images Banks



설탕 재배 때문에 노예제가 생겨난 것은 아니지만, 노예제는 설탕 재배와 만나 급격하게 성장했다. 수 백만명의 아프리카인이 노예가 됐다. 배에 태워져 서인도제도로 보내졌다. 항해에서 살아남는 1250만 아프리카인 가운데 3분의 2가 사탕수수 플랜테이션 농장으로 끌려갔다. 쇠약해진 상태로 도착한 그들은 굶주림과 장시간의 고된 노동 속에서 사탕수수를 재배하고 수확하고 가공했다. 잔인한 처벌과 고문도 일상이었다. 고통스러운 삶을 끝내기 위해, 목을 매거나 농장주들에게 손해를 끼쳐 복수하려고 사탕수수 즙이 펄펄 끓는 솥에 뛰어들기도 했다.

Getty Images Banks



이런 참상은 유럽에 전해져 18~19세기에 노예제 폐지 운동을 불러일으켰다. “사람의 피가 묻은 설탕을 먹을 수 없다”는 팸플릿이 나돌았다. 수십 만명이 청원한 끝에 영국 의회는 1807년 노예무역을, 1833년에는 노예제를 폐지했다. 하지만 영국 통치령 밖에선 여전히 노예들이 사탕수수를 생산했다.

그렇게 브라질과 쿠바 등에서 생산된 설탕은 가격이 더 저렴했기에, 영국인들도 이를 대량으로 수입하기 시작했다. 1860년대까지도 유럽과 미국인들이 소비한 설탕의 절반은 여전히 노예들이 생산한 것이었다.

돌파구는 산업적 혁신에서 나왔다. 산업혁명의 바람을 타고 증기로 사탕수수를 분쇄하는 기계가 발명됐다. 과학자들은 사탕수수 말고 다른 곳에서 설탕을 얻을 방법이 없나 연구했다. 포도 등에서 설탕을 추출을 시도하다 실패하고, 결국은 사탕무에서 설탕을 얻는 방법을 알아냈다.

Getty Images Banks



책은 노예제 말고도 설탕과 관련한 여러 문제를 지적한다. 단일 작품을 재배하면서 토양이 황폐해지고, 무성한 열대 우림이 황무지로 변했다고 지적한다. 가난한 도시 노동자들의 에너지 보충을 위해 칼로리만 높이는 설탕이 많이 첨가됐다고도 했다. 그렇게 발달한 설탕 산업은 지금도 우리에게 설탕을 더 많이 먹이려 노력한다.

저자는 “식품과 음료에 과도한 설탕 첨가를 금지하는 것은 절실히 필요한 변화의 시작”이라며 “이는 소비자의 돈을 아껴줄 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과 환경을 크게 개선할 것”이라고 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댓글 (0)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작성
    jypk@v-w.co.kr

    신고하기

    신고사유 선택 [필수]

                  허위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 주세요.

                  댓글 운영 정책

                  아르떼에서는 다음과 같이 댓글 서비스를 관리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댓글 서비스 이용 중에 이용약관 및 운영정책을 위반할 경우, 사전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댓글 운영정책은 이용약관에 기반하고 있으며 기타 사항은 고객센터 문의를 이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1. 서비스 이용 제한 사유
                  - 회사 또는 제3자의 명예를 훼손하는 경우
                  - 회사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 외설 또는 폭력적인 메시지, 기타 관계법령 및 공서양속에 반하는 경우
                  - 제3자에게 피해가 발생하였거나 피해가 예상되는 경우
                  - 댓글 도배 등 부정한 용도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 범죄행위를 목적으로 하거나 범죄행위를 교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 기타 관계 법령을 위배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2. 회원 댓글 기능
                  가. 댓글 신고
                  - 회원은 다른 회원의 댓글을 신고할 수 있습니다. 신고된 댓글은 신고한 회원에 한해서 숨김 처리되며 이는 복구할 수 없습니다.
                  - 신고된 댓글은 이용약관 및 운영정책에 따라 처리됩니다.

                  나. 댓글 삭제
                  - 회원은 본인이 작성한 댓글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삭제된 댓글의 답글은 작성자 또는 회사가 별도로 삭제하기 전까지 삭제되지 않습니다.
                  다. 회원 차단
                  - 회원은 다른 회원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차단한 회원의 댓글및 답글은 숨김처리되며 차단해제도 가능합니다.

                  3. 서비스 이용 제한
                  - 회사는 비방 및 욕설, 광고 등 댓글에 부적합한 단어의 이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 서비스 이용 제한은 누적 위반 횟수를 우선하여 처리하나 사안의 심각성에 따라 처리 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회사는 회원의 IP 및 ID를 일시 또는 영구적으로 차단하여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회사는 회원의 댓글을 삭제하여 게재된 댓글의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회원은 ‘나의 댓글 관리’에서 누적 위반 횟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유하기

                  신고하기

                  신고사유 선택 [필수]

                                허위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 주세요.

                                메달 및 별점 운영 정책

                                아르떼는 공연, 전시, 책 등 문화예술 콘텐츠에 대해 평가 시스템을 운영합니다. 해당 문화 콘텐츠를 직접 체험한 평론가와 담당 기자가 수여하는‘아르떼 메달’과 일반 회원들이 직접 평가하는 ‘아르떼 별점’ 두 가지입니다.

                                아르떼 메달 - 평론가와 기자들이 수여하는 ‘품질 보증서’

                                아르떼 메달은 미슐랭가이드처럼 좋은 공연·전시·책에 대해서만 1~3개씩 부여합니다.
                                한 개건, 두 개건 메달을 받았다는 것만으로 훌륭한 콘텐츠였다고 인정하는 시스템입니다. ‘메달 셋’은 말할 것도 없겠죠. 해당 콘텐츠를 직접 체험한 평론가와 기자들이 콘텐츠의 품질·가격·현장 분위기 등을 감안해 매깁니다.

                                메달 1~3개는 각각 이런 의미를 가집니다.

                                • 절대 놓쳐서는 안 되는
                                  콘텐츠

                                • 먼 걸음을 감수할 만한
                                  콘텐츠

                                • 훌륭한 콘텐츠

                                아르떼 별점 - 회원들이 직접 참여하는 생생한 평가

                                ‘다른 회원들은 이 전시·공연·도서를 어떻게 봤을까?’
                                문화예술 애호가들의 생생한 후기가 궁금하다면 ‘아르떼 별점’을 확인하세요.
                                회원 누구나 간단한 후기와 함께 1~5개의 별을 달 수 있습니다.
                                ‘아르떼 별점’은 자신의 감상평을 다른 애호가들에게 전하고,
                                남들은 어떻게 느꼈는지를 엿볼 수 있는 창구입니다.
                                여러분이 남겨주신 평가가 다른 애호가들에게 선택의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별 1~5개는 각각 이런 의미를 가집니다.

                                • 죽기 전에 반드시 봐야 할 콘텐츠

                                • 주변에 추천하고 싶은 콘텐츠

                                • 호불호가 갈리는 콘텐츠

                                • 약간 아쉬운 콘텐츠

                                • 많이 아쉬운 콘텐츠

                                arte

                                노예의 피땀이 섞인 달콤한 덩어리… 설탕의 쓰디쓴 역사 [책마을]

                                임근호 2024-01-12

                                설탕

                                윌버 보스마 지음
                                조행복 옮김/책과함께
                                624쪽|3만5000원


                                길쭉한 사탕수수를 잘라 압착하면 즙이 나온다. 풀향기가 살짝 나는 달콤한 액체다. 요즘도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의 노점상에서는 음료로 판다. 오래 놔둘 순 없다. 바로 발효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래전 인도 사람들은 이 즙을 끓여 고체 덩어리로 만들어 몇 달 동안 보관했다. 구르(gur)라 불렀다. 겨울이면 아침 쟁기질을 하러 밭에 나가기 전 한 덩어리씩 먹었다. 기진맥진한 순례자들도 이 구르를 얻어먹고 기력을 회복했다.

                                황갈색 덩어리의 정체는 설탕이다. 시간이 흐른 후 이를 정제한 백설탕도 만들어졌다. 설탕은 수백 년 동안 세계 각국에서 사치품이었다. 금을 주고 사는 권력과 부의 상징이었다. 이 맛있는 설탕을 남녀노소, 계층에 상관없이 세계인 모두가 먹게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이는 끔찍한 결과를 불러왔다. 바로 노예무역이다.



                                <설탕>은 설탕의 역사를 다룬 책이다. 2500년 동안 설탕이 어떻게 우리의 정치, 건강, 환경을 바꿨는지 보여준다. 책을 쓴 윌버 보스마는 네덜란드 암스테르탐자유대 교수이자 국제사회사연구소 선임연구원이다. 그는 “설탕의 역사는 비인간적인 폭력과 생태계 파괴, 대항 운동, 저항, 항의, 여러 설탕 생산자들 간의 파멸적인 전쟁으로 가득하다”며 “그렇지만 동시에 엄청난 창의성과 기업가 정신, 낙관론의 역사이기도 하다”고 했다.

                                설탕은 소금보다 만들기가 훨씬 어렵다. 오늘날에는 커다란 압착기와 보일러, 원심분리기를 갖춘 거대한 공장에서 엄청난 양의 사탕무나 사탕수수를 불과 몇 시간 만에 흰색의 결정질 설탕으로 바꿔놓는다. 하지만 이런 기술이 발전하기 전까지 설탕 생산엔 엄청난 노동력이 필요했다. 무더운 지역에서 작물을 심고 가꾸고 수확한 다음, 즙을 짜내고 끓여서 설탕으로 만들었다. 급증하는 수요를 맞추기 위해, 잡초를 베어내기 위해, 또 수확한 사탕수수는 금방 상했기에 설탕 노동자들은 오랜 시간 중노동에 시달려야 했다.

                                Getty Images Banks



                                설탕 재배 때문에 노예제가 생겨난 것은 아니지만, 노예제는 설탕 재배와 만나 급격하게 성장했다. 수 백만명의 아프리카인이 노예가 됐다. 배에 태워져 서인도제도로 보내졌다. 항해에서 살아남는 1250만 아프리카인 가운데 3분의 2가 사탕수수 플랜테이션 농장으로 끌려갔다. 쇠약해진 상태로 도착한 그들은 굶주림과 장시간의 고된 노동 속에서 사탕수수를 재배하고 수확하고 가공했다. 잔인한 처벌과 고문도 일상이었다. 고통스러운 삶을 끝내기 위해, 목을 매거나 농장주들에게 손해를 끼쳐 복수하려고 사탕수수 즙이 펄펄 끓는 솥에 뛰어들기도 했다.

                                Getty Images Banks



                                이런 참상은 유럽에 전해져 18~19세기에 노예제 폐지 운동을 불러일으켰다. “사람의 피가 묻은 설탕을 먹을 수 없다”는 팸플릿이 나돌았다. 수십 만명이 청원한 끝에 영국 의회는 1807년 노예무역을, 1833년에는 노예제를 폐지했다. 하지만 영국 통치령 밖에선 여전히 노예들이 사탕수수를 생산했다.

                                그렇게 브라질과 쿠바 등에서 생산된 설탕은 가격이 더 저렴했기에, 영국인들도 이를 대량으로 수입하기 시작했다. 1860년대까지도 유럽과 미국인들이 소비한 설탕의 절반은 여전히 노예들이 생산한 것이었다.

                                돌파구는 산업적 혁신에서 나왔다. 산업혁명의 바람을 타고 증기로 사탕수수를 분쇄하는 기계가 발명됐다. 과학자들은 사탕수수 말고 다른 곳에서 설탕을 얻을 방법이 없나 연구했다. 포도 등에서 설탕을 추출을 시도하다 실패하고, 결국은 사탕무에서 설탕을 얻는 방법을 알아냈다.

                                Getty Images Banks



                                책은 노예제 말고도 설탕과 관련한 여러 문제를 지적한다. 단일 작품을 재배하면서 토양이 황폐해지고, 무성한 열대 우림이 황무지로 변했다고 지적한다. 가난한 도시 노동자들의 에너지 보충을 위해 칼로리만 높이는 설탕이 많이 첨가됐다고도 했다. 그렇게 발달한 설탕 산업은 지금도 우리에게 설탕을 더 많이 먹이려 노력한다.

                                저자는 “식품과 음료에 과도한 설탕 첨가를 금지하는 것은 절실히 필요한 변화의 시작”이라며 “이는 소비자의 돈을 아껴줄 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과 환경을 크게 개선할 것”이라고 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부적절한 표현이 감지됩니다.

                                반복 등록 시 본 사이트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