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
안녕하세요. 세상에 없던 문화예술 플랫폼, 아르떼입니다.
안녕하세요. 세상에 없던 문화예술 플랫폼, 아르떼입니다.

오뚜기와 해태 설립의 '나비효과'… 김치볶음밥의 탄생[책마을]

임근호arte
2023.09.20
1.2k2
역사와 문화로 보는 주방 오디세이

장원철 지음/글항아리
376쪽|1만9800원

Getty Images



프라이팬이 한국에 전해진 것은 일제강점기였지만 대중화된 것은 1970년대부터였다. 오뚜기와 해태 같은 식품회사들이 콩기름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시작한 이후다. 한국에서는 식용유가 귀했기 때문에 볶음요리가 발전하기 어려웠고 프라이팬의 쓸모도 적었다. 프라이팬은 올리브유가 풍부했던 서양에서나 어울린 주방용품이었다. 콩기름이 흔해지면서 한국인들은 프라이팬이 필요해졌고 콩기름과 프라이팬의 조합으로 탄생한 것 가운데 하나가 김치볶음밥이다.

<역사와 문화로 보는 주방 오디세이>는 이렇게 프라이팬, 냄비, 칼, 도마, 젓가락, 그릇, 냉장고 등 주방 물품에 담긴 이야기를 들려준다. 저자 장원철은 대학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사회생활을 하며 몇 권의 책을 쓰고 번역했다.

어느 날 글로 먹고사는 미래가 슬슬 불안해진 그는 장사에 뛰어들었다. 2012년부터 5년간 서울 남대문 그릇도매상가에서 업소용 주방 기물을 취급했다. 그릇뿐 아니라 냉장고와 가스레인지, 선풍기, 쓰레기통, 신발 등 업소가 필요한 온갖 기물을 다 거래했다. ‘장사꾼 DNA’가 없다는 걸 깨닫고 글쟁이로 돌아왔다. 그리고 이 책을 썼다.

매력적인 책이다. 책 뒤편의 방대한 참고문헌 목록이 보여주는 것처럼 저자는 자료 조사에 상당한 공을 들였다. 이런 깊이 있는 조사가 저자의 글솜씨와 맞물려 독자의 눈앞에 매끄럽게 펼쳐진다. 재미와 정보를 다 잡은 수작이다.



유리는 서양에서 발달했다. 왜 동양은 유리에 무심했을까. 식기로 너무 우수한 도자기의 발달이 원인이라는 견해가 있다. 저자는 “절반의 책임은 종이가 져야 한다”고 말한다. 서양의 종이는 빛을 반사한다. 동양의 종이는 빛을 투과했다. 보온 기능과 습기를 머금었다 마르면서 습도를 역할도 할 수 있었다. 그래서 동양은 창호에 종이를 썼다. 나무로 집을 지었기에 가능한 일이기도 했다. 식기는 도자기를 쓰고, 창문은 종이를 썼기에 유리를 써야 할 필요성이 크지 않았다.

하지만 유리는 생각보다 유용했다. 식기와 창문을 만드는 것 외에도 렌즈를 만들 때도 쓰였다. 안경과 망원경, 현미경의 토대가 됐다. 과학이 발달하고 서양이 동양을 앞서는 계기가 됐다.

현재 주방용 칼은 일본식과 서양식 칼이 양분하고 있다. 하지만 저자는 “목적과 기능에 있어 중식 칼만큼 탁월한 칼은 없다”고 말한다. 요리사들의 세계에서 정식 일본 요리를 하려면 기본적으로 6~7가지의 일식 칼이 필요하다. 야채용, 어패류용, 횟감, 갯장어와 뱀장어용, 초밥용 등 식재료와 목적에 적합한 칼이 따로 있다. 서양 요리는 이보다 더 복잡해 대략 17개의 칼을 상비해야 한다.

중국 칼은 오로지 한 가지다. 큼지막한 손도끼 모양으로 일반 가정에서도 전문 요릿집에서도 이 칼 하나만 쓴다. 크기가 작으면 손이 작은 여성용, 크면 남성용이다. 잘게 다지기, 얇게 썰기, 채 설기, 돌려 깎기 등이 모두 가능하다. 넓적한 몸채는 썰어놓은 식재료를 한 번에 옮기는 데 유용하다.

한국 음식점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그릇은 멜란민수지로 만든 플라스틱 그릇이다. 이유가 있다. 한식은 반찬이 많다. 하루 종일 서빙하고 설거지하는 사람 입장에선 가벼운 그릇이 최고다. 스테인리스 밥공기와 식기가 잘 쓰이는 것도 가볍기 때문이다.

고급 식당은 가벼운 그릇과 식기를 쓰지 않는다. 책은 맛에 대한 인상에 식기의 무게감이 영향을 준다고 설명한다. 영국 옥스퍼드대 심리학과 교수가 실험을 했다. 같은 요리인데도 무거운 식기를 쓴 사람들이 더 높은 평가를 내렸다.

칼과 도마, 젓가락, 냄비 등 주방 물품엔 삶의 풍경이 담겨 있다. 책은 인류가, 그리고 한국이 거쳐온 ‘부엌의 작은 역사’를 흥미롭게 풀어낸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댓글 (2) 
  • 날 재료와 그를 이용할 수 있는 화력의 재원, 그리고 그 과정에 적합한 주방도구와 그릇.. 일용할 음식을 제공하는 구성원들의 상관 관계를 한 걸음 떨어져서 조망할 수 있는 흥미로운 책인 듯합니다. 독자들의 시선을 끌만한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09.26 08:51:25
  • 날 재료와 그를 이용할 수 있는 화력의 재원, 그리고 그 과정에 적합한 주방도구와 그릇.. 일용할 음식을 제공하는 구성원들의 상관 관계를 한 걸음 떨어져서 조망할 수 있는 흥미로운 책인 듯합니다. 독자들의 시선을 끌만한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09.26 08:51:25
댓글 작성
jypk@v-w.co.kr

신고하기

신고사유 선택 [필수]

                허위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 주세요.

                댓글 운영 정책

                아르떼에서는 다음과 같이 댓글 서비스를 관리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댓글 서비스 이용 중에 이용약관 및 운영정책을 위반할 경우, 사전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댓글 운영정책은 이용약관에 기반하고 있으며 기타 사항은 고객센터 문의를 이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1. 서비스 이용 제한 사유
                - 회사 또는 제3자의 명예를 훼손하는 경우
                - 회사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 외설 또는 폭력적인 메시지, 기타 관계법령 및 공서양속에 반하는 경우
                - 제3자에게 피해가 발생하였거나 피해가 예상되는 경우
                - 댓글 도배 등 부정한 용도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 범죄행위를 목적으로 하거나 범죄행위를 교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 기타 관계 법령을 위배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2. 회원 댓글 기능
                가. 댓글 신고
                - 회원은 다른 회원의 댓글을 신고할 수 있습니다. 신고된 댓글은 신고한 회원에 한해서 숨김 처리되며 이는 복구할 수 없습니다.
                - 신고된 댓글은 이용약관 및 운영정책에 따라 처리됩니다.

                나. 댓글 삭제
                - 회원은 본인이 작성한 댓글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삭제된 댓글의 답글은 작성자 또는 회사가 별도로 삭제하기 전까지 삭제되지 않습니다.
                다. 회원 차단
                - 회원은 다른 회원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차단한 회원의 댓글및 답글은 숨김처리되며 차단해제도 가능합니다.

                3. 서비스 이용 제한
                - 회사는 비방 및 욕설, 광고 등 댓글에 부적합한 단어의 이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 서비스 이용 제한은 누적 위반 횟수를 우선하여 처리하나 사안의 심각성에 따라 처리 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회사는 회원의 IP 및 ID를 일시 또는 영구적으로 차단하여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회사는 회원의 댓글을 삭제하여 게재된 댓글의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회원은 ‘나의 댓글 관리’에서 누적 위반 횟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관 리뷰

                공유하기

                신고하기

                신고사유 선택 [필수]

                              허위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 주세요.

                              메달 및 별점 운영 정책

                              아르떼는 공연, 전시, 책 등 문화예술 콘텐츠에 대해 평가 시스템을 운영합니다. 해당 문화 콘텐츠를 직접 체험한 평론가와 담당 기자가 수여하는‘아르떼 메달’과 일반 회원들이 직접 평가하는 ‘아르떼 별점’ 두 가지입니다.

                              아르떼 메달 - 평론가와 기자들이 수여하는 ‘품질 보증서’

                              아르떼 메달은 미슐랭가이드처럼 좋은 공연·전시·책에 대해서만 1~3개씩 부여합니다.
                              한 개건, 두 개건 메달을 받았다는 것만으로 훌륭한 콘텐츠였다고 인정하는 시스템입니다. ‘메달 셋’은 말할 것도 없겠죠. 해당 콘텐츠를 직접 체험한 평론가와 기자들이 콘텐츠의 품질·가격·현장 분위기 등을 감안해 매깁니다.

                              메달 1~3개는 각각 이런 의미를 가집니다.

                              • 절대 놓쳐서는 안 되는
                                콘텐츠

                              • 먼 걸음을 감수할 만한
                                콘텐츠

                              • 훌륭한 콘텐츠

                              아르떼 별점 - 회원들이 직접 참여하는 생생한 평가

                              ‘다른 회원들은 이 전시·공연·도서를 어떻게 봤을까?’
                              문화예술 애호가들의 생생한 후기가 궁금하다면 ‘아르떼 별점’을 확인하세요.
                              회원 누구나 간단한 후기와 함께 1~5개의 별을 달 수 있습니다.
                              ‘아르떼 별점’은 자신의 감상평을 다른 애호가들에게 전하고,
                              남들은 어떻게 느꼈는지를 엿볼 수 있는 창구입니다.
                              여러분이 남겨주신 평가가 다른 애호가들에게 선택의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별 1~5개는 각각 이런 의미를 가집니다.

                              • 죽기 전에 반드시 봐야 할 콘텐츠

                              • 주변에 추천하고 싶은 콘텐츠

                              • 호불호가 갈리는 콘텐츠

                              • 약간 아쉬운 콘텐츠

                              • 많이 아쉬운 콘텐츠

                              arte

                              오뚜기와 해태 설립의 '나비효과'… 김치볶음밥의 탄생[책마을]

                              임근호 2023-09-20

                              역사와 문화로 보는 주방 오디세이

                              장원철 지음/글항아리
                              376쪽|1만9800원

                              Getty Images



                              프라이팬이 한국에 전해진 것은 일제강점기였지만 대중화된 것은 1970년대부터였다. 오뚜기와 해태 같은 식품회사들이 콩기름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시작한 이후다. 한국에서는 식용유가 귀했기 때문에 볶음요리가 발전하기 어려웠고 프라이팬의 쓸모도 적었다. 프라이팬은 올리브유가 풍부했던 서양에서나 어울린 주방용품이었다. 콩기름이 흔해지면서 한국인들은 프라이팬이 필요해졌고 콩기름과 프라이팬의 조합으로 탄생한 것 가운데 하나가 김치볶음밥이다.

                              <역사와 문화로 보는 주방 오디세이>는 이렇게 프라이팬, 냄비, 칼, 도마, 젓가락, 그릇, 냉장고 등 주방 물품에 담긴 이야기를 들려준다. 저자 장원철은 대학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사회생활을 하며 몇 권의 책을 쓰고 번역했다.

                              어느 날 글로 먹고사는 미래가 슬슬 불안해진 그는 장사에 뛰어들었다. 2012년부터 5년간 서울 남대문 그릇도매상가에서 업소용 주방 기물을 취급했다. 그릇뿐 아니라 냉장고와 가스레인지, 선풍기, 쓰레기통, 신발 등 업소가 필요한 온갖 기물을 다 거래했다. ‘장사꾼 DNA’가 없다는 걸 깨닫고 글쟁이로 돌아왔다. 그리고 이 책을 썼다.

                              매력적인 책이다. 책 뒤편의 방대한 참고문헌 목록이 보여주는 것처럼 저자는 자료 조사에 상당한 공을 들였다. 이런 깊이 있는 조사가 저자의 글솜씨와 맞물려 독자의 눈앞에 매끄럽게 펼쳐진다. 재미와 정보를 다 잡은 수작이다.



                              유리는 서양에서 발달했다. 왜 동양은 유리에 무심했을까. 식기로 너무 우수한 도자기의 발달이 원인이라는 견해가 있다. 저자는 “절반의 책임은 종이가 져야 한다”고 말한다. 서양의 종이는 빛을 반사한다. 동양의 종이는 빛을 투과했다. 보온 기능과 습기를 머금었다 마르면서 습도를 역할도 할 수 있었다. 그래서 동양은 창호에 종이를 썼다. 나무로 집을 지었기에 가능한 일이기도 했다. 식기는 도자기를 쓰고, 창문은 종이를 썼기에 유리를 써야 할 필요성이 크지 않았다.

                              하지만 유리는 생각보다 유용했다. 식기와 창문을 만드는 것 외에도 렌즈를 만들 때도 쓰였다. 안경과 망원경, 현미경의 토대가 됐다. 과학이 발달하고 서양이 동양을 앞서는 계기가 됐다.

                              현재 주방용 칼은 일본식과 서양식 칼이 양분하고 있다. 하지만 저자는 “목적과 기능에 있어 중식 칼만큼 탁월한 칼은 없다”고 말한다. 요리사들의 세계에서 정식 일본 요리를 하려면 기본적으로 6~7가지의 일식 칼이 필요하다. 야채용, 어패류용, 횟감, 갯장어와 뱀장어용, 초밥용 등 식재료와 목적에 적합한 칼이 따로 있다. 서양 요리는 이보다 더 복잡해 대략 17개의 칼을 상비해야 한다.

                              중국 칼은 오로지 한 가지다. 큼지막한 손도끼 모양으로 일반 가정에서도 전문 요릿집에서도 이 칼 하나만 쓴다. 크기가 작으면 손이 작은 여성용, 크면 남성용이다. 잘게 다지기, 얇게 썰기, 채 설기, 돌려 깎기 등이 모두 가능하다. 넓적한 몸채는 썰어놓은 식재료를 한 번에 옮기는 데 유용하다.

                              한국 음식점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그릇은 멜란민수지로 만든 플라스틱 그릇이다. 이유가 있다. 한식은 반찬이 많다. 하루 종일 서빙하고 설거지하는 사람 입장에선 가벼운 그릇이 최고다. 스테인리스 밥공기와 식기가 잘 쓰이는 것도 가볍기 때문이다.

                              고급 식당은 가벼운 그릇과 식기를 쓰지 않는다. 책은 맛에 대한 인상에 식기의 무게감이 영향을 준다고 설명한다. 영국 옥스퍼드대 심리학과 교수가 실험을 했다. 같은 요리인데도 무거운 식기를 쓴 사람들이 더 높은 평가를 내렸다.

                              칼과 도마, 젓가락, 냄비 등 주방 물품엔 삶의 풍경이 담겨 있다. 책은 인류가, 그리고 한국이 거쳐온 ‘부엌의 작은 역사’를 흥미롭게 풀어낸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부적절한 표현이 감지됩니다.

                              반복 등록 시 본 사이트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