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
안녕하세요. 세상에 없던 문화예술 플랫폼, 아르떼입니다.
안녕하세요. 세상에 없던 문화예술 플랫폼, 아르떼입니다.

러시아 루블화는 어떻게 '독재를 위한 도구'가 됐나 [WSJ 서평]

안시욱arte
2023.08.01
4000
루블(The Ruble)

예카테리나 프라빌로바 지음
옥스포드 대학교
560쪽│40달러


돈과 정치는 서로 떼놓고 이야기할 수 없다. 각국의 통화는 국제 정세에서의 위상을 드러내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글로벌 금융위기, 코로나19 이후 인플레이션 등으로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입지가 흔들리자, 일각에선 중국 위안화나 러시아 루블화로 '달러를 우회하는 결제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움직임이 일고 있다.

루블화에 대한 다양한 전망이 제기되는 가운데 최근 출간된 <루블>은 "루블이 러시아 독재 권력의 도구로 전락했다"고 주장한다. 저자 예카테리나 프라빌로바 미국 프리스턴대 교수는 18세기 러시아 제국부터 소련 붕괴까지 약 300년의 근현대사를 돌아본다. 그러면서 루블이 '모호한 가치를 가진 불안정한 통화'로 변모한 과정을 추적한다.

책은 러시아 최초의 지폐가 발행된 176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예카테리나 대제(재위 1762~1769년)는 전쟁 등 제국 확장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돈을 찍어냈다. 귀족들이 담보로 맡긴 재산과 황제의 권위가 신용을 보증했지만, 화폐 가치의 폭락을 간신히 틀어막는 수준에 불과했다.

알렉산드르 1세(재위 1801년~1825년)에 이르러 명목주의 화폐론이 세를 불렸다. 이들은 "황제가 신성한 의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자금을 찍어내는 걸 막아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은본위제를 도입해 통치자의 자의적인 통화 발행을 막자는 주장은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다. 상공업 발전에 투입돼야 할 자원은 독재 권력을 강화하는 데 사용됐다. 저자는 “러시아의 경제 발전이 유럽의 다른 국가들에 비해 뒤처진 것은 이때 발생한 비생산성 때문”이라고 꼬집는다.



루블화는 이른바 ‘독재 자본주의’ 체제로 넘어가며 약간의 안정을 찾았다. 알렉산드르 2세(재위 1855~1881년)는 외국 상인과 투자자들한테 시장을 개방하고 자유무역을 채택했다. 증권, 채권, 주식 등 각종 거래의 수단으로 루블이 활용되며 국제적인 가치 평가의 영향을 받는 듯했다.

하지만 개혁은 금세 한계에 직면했다. 독재와 자본주의에는 본질적으로 타협할 수 없는 영역이 있었다. 시민 자본이 성장하자 위협을 느낀 엘리트 집단은 관세를 부활하는 등 개혁을 취소했다. 1897년 금본위제를 도입했지만 저자는 이마저도 "경제에 관한 국가의 통제력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전개됐다"고 주장한다.

러시아 제국의 루블은 제1차 세계대전과 뒤이은 러시아 혁명으로 무너졌다. 전쟁으로 물가가 천정부지로 솟자 '황제의 권위'를 상징하는 루블화의 가치는 바닥을 쳤다. 이후 루블은 임시정부가 발행한 지폐, 혁명에서 승리한 볼셰비키가 발행한 지폐 등 수십 종류의 화폐가 뒤섞인 모호한 개념으로 바뀌었다.

권력을 잡은 공산당은 자체적인 명목주의를 시행하면서 통화에 대한 국가 통제를 강화했다. 적어도 소련 내부에서 루블의 가치는 중앙당의 명령에 따라 결정됐다. 저자는 "소련 루블은 '계획경제의 보조도구'이자, 시민에게는 '일종의 배급 카드'로 전락했다"며 "통치자가 화폐를 쥐고 흔드는 권위주의적 전통은 오늘까지도 계속되고 있다"고 평가한다.

정리=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

이 글은 WSJ에 실린 앤드루 스투타포드의 서평(2023년 7월 27일) ‘The Ruble Review: Imperial Tender’를 번역·편집한 것입니다.





댓글 (0)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 작성
    jypk@v-w.co.kr

    신고하기

    신고사유 선택 [필수]

                  허위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 주세요.

                  댓글 운영 정책

                  아르떼에서는 다음과 같이 댓글 서비스를 관리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댓글 서비스 이용 중에 이용약관 및 운영정책을 위반할 경우, 사전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댓글 운영정책은 이용약관에 기반하고 있으며 기타 사항은 고객센터 문의를 이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1. 서비스 이용 제한 사유
                  - 회사 또는 제3자의 명예를 훼손하는 경우
                  - 회사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 외설 또는 폭력적인 메시지, 기타 관계법령 및 공서양속에 반하는 경우
                  - 제3자에게 피해가 발생하였거나 피해가 예상되는 경우
                  - 댓글 도배 등 부정한 용도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 범죄행위를 목적으로 하거나 범죄행위를 교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 기타 관계 법령을 위배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2. 회원 댓글 기능
                  가. 댓글 신고
                  - 회원은 다른 회원의 댓글을 신고할 수 있습니다. 신고된 댓글은 신고한 회원에 한해서 숨김 처리되며 이는 복구할 수 없습니다.
                  - 신고된 댓글은 이용약관 및 운영정책에 따라 처리됩니다.

                  나. 댓글 삭제
                  - 회원은 본인이 작성한 댓글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삭제된 댓글의 답글은 작성자 또는 회사가 별도로 삭제하기 전까지 삭제되지 않습니다.
                  다. 회원 차단
                  - 회원은 다른 회원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차단한 회원의 댓글및 답글은 숨김처리되며 차단해제도 가능합니다.

                  3. 서비스 이용 제한
                  - 회사는 비방 및 욕설, 광고 등 댓글에 부적합한 단어의 이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 서비스 이용 제한은 누적 위반 횟수를 우선하여 처리하나 사안의 심각성에 따라 처리 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회사는 회원의 IP 및 ID를 일시 또는 영구적으로 차단하여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회사는 회원의 댓글을 삭제하여 게재된 댓글의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회원은 ‘나의 댓글 관리’에서 누적 위반 횟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유하기

                  신고하기

                  신고사유 선택 [필수]

                                허위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 주세요.

                                메달 및 별점 운영 정책

                                아르떼는 공연, 전시, 책 등 문화예술 콘텐츠에 대해 평가 시스템을 운영합니다. 해당 문화 콘텐츠를 직접 체험한 평론가와 담당 기자가 수여하는‘아르떼 메달’과 일반 회원들이 직접 평가하는 ‘아르떼 별점’ 두 가지입니다.

                                아르떼 메달 - 평론가와 기자들이 수여하는 ‘품질 보증서’

                                아르떼 메달은 미슐랭가이드처럼 좋은 공연·전시·책에 대해서만 1~3개씩 부여합니다.
                                한 개건, 두 개건 메달을 받았다는 것만으로 훌륭한 콘텐츠였다고 인정하는 시스템입니다. ‘메달 셋’은 말할 것도 없겠죠. 해당 콘텐츠를 직접 체험한 평론가와 기자들이 콘텐츠의 품질·가격·현장 분위기 등을 감안해 매깁니다.

                                메달 1~3개는 각각 이런 의미를 가집니다.

                                • 절대 놓쳐서는 안 되는
                                  콘텐츠

                                • 먼 걸음을 감수할 만한
                                  콘텐츠

                                • 훌륭한 콘텐츠

                                아르떼 별점 - 회원들이 직접 참여하는 생생한 평가

                                ‘다른 회원들은 이 전시·공연·도서를 어떻게 봤을까?’
                                문화예술 애호가들의 생생한 후기가 궁금하다면 ‘아르떼 별점’을 확인하세요.
                                회원 누구나 간단한 후기와 함께 1~5개의 별을 달 수 있습니다.
                                ‘아르떼 별점’은 자신의 감상평을 다른 애호가들에게 전하고,
                                남들은 어떻게 느꼈는지를 엿볼 수 있는 창구입니다.
                                여러분이 남겨주신 평가가 다른 애호가들에게 선택의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별 1~5개는 각각 이런 의미를 가집니다.

                                • 죽기 전에 반드시 봐야 할 콘텐츠

                                • 주변에 추천하고 싶은 콘텐츠

                                • 호불호가 갈리는 콘텐츠

                                • 약간 아쉬운 콘텐츠

                                • 많이 아쉬운 콘텐츠

                                arte

                                러시아 루블화는 어떻게 '독재를 위한 도구'가 됐나 [WSJ 서평]

                                안시욱 2023-08-01

                                루블(The Ruble)

                                예카테리나 프라빌로바 지음
                                옥스포드 대학교
                                560쪽│40달러


                                돈과 정치는 서로 떼놓고 이야기할 수 없다. 각국의 통화는 국제 정세에서의 위상을 드러내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글로벌 금융위기, 코로나19 이후 인플레이션 등으로 기축통화로서 미국 달러화의 입지가 흔들리자, 일각에선 중국 위안화나 러시아 루블화로 '달러를 우회하는 결제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움직임이 일고 있다.

                                루블화에 대한 다양한 전망이 제기되는 가운데 최근 출간된 <루블>은 "루블이 러시아 독재 권력의 도구로 전락했다"고 주장한다. 저자 예카테리나 프라빌로바 미국 프리스턴대 교수는 18세기 러시아 제국부터 소련 붕괴까지 약 300년의 근현대사를 돌아본다. 그러면서 루블이 '모호한 가치를 가진 불안정한 통화'로 변모한 과정을 추적한다.

                                책은 러시아 최초의 지폐가 발행된 176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예카테리나 대제(재위 1762~1769년)는 전쟁 등 제국 확장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돈을 찍어냈다. 귀족들이 담보로 맡긴 재산과 황제의 권위가 신용을 보증했지만, 화폐 가치의 폭락을 간신히 틀어막는 수준에 불과했다.

                                알렉산드르 1세(재위 1801년~1825년)에 이르러 명목주의 화폐론이 세를 불렸다. 이들은 "황제가 신성한 의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자금을 찍어내는 걸 막아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은본위제를 도입해 통치자의 자의적인 통화 발행을 막자는 주장은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다. 상공업 발전에 투입돼야 할 자원은 독재 권력을 강화하는 데 사용됐다. 저자는 “러시아의 경제 발전이 유럽의 다른 국가들에 비해 뒤처진 것은 이때 발생한 비생산성 때문”이라고 꼬집는다.



                                루블화는 이른바 ‘독재 자본주의’ 체제로 넘어가며 약간의 안정을 찾았다. 알렉산드르 2세(재위 1855~1881년)는 외국 상인과 투자자들한테 시장을 개방하고 자유무역을 채택했다. 증권, 채권, 주식 등 각종 거래의 수단으로 루블이 활용되며 국제적인 가치 평가의 영향을 받는 듯했다.

                                하지만 개혁은 금세 한계에 직면했다. 독재와 자본주의에는 본질적으로 타협할 수 없는 영역이 있었다. 시민 자본이 성장하자 위협을 느낀 엘리트 집단은 관세를 부활하는 등 개혁을 취소했다. 1897년 금본위제를 도입했지만 저자는 이마저도 "경제에 관한 국가의 통제력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전개됐다"고 주장한다.

                                러시아 제국의 루블은 제1차 세계대전과 뒤이은 러시아 혁명으로 무너졌다. 전쟁으로 물가가 천정부지로 솟자 '황제의 권위'를 상징하는 루블화의 가치는 바닥을 쳤다. 이후 루블은 임시정부가 발행한 지폐, 혁명에서 승리한 볼셰비키가 발행한 지폐 등 수십 종류의 화폐가 뒤섞인 모호한 개념으로 바뀌었다.

                                권력을 잡은 공산당은 자체적인 명목주의를 시행하면서 통화에 대한 국가 통제를 강화했다. 적어도 소련 내부에서 루블의 가치는 중앙당의 명령에 따라 결정됐다. 저자는 "소련 루블은 '계획경제의 보조도구'이자, 시민에게는 '일종의 배급 카드'로 전락했다"며 "통치자가 화폐를 쥐고 흔드는 권위주의적 전통은 오늘까지도 계속되고 있다"고 평가한다.

                                정리=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

                                이 글은 WSJ에 실린 앤드루 스투타포드의 서평(2023년 7월 27일) ‘The Ruble Review: Imperial Tender’를 번역·편집한 것입니다.


                                부적절한 표현이 감지됩니다.

                                반복 등록 시 본 사이트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